1. github의 respository에 push 합니다.
$ git push origin master
2. EC2 인스턴스 생성합니다.
리션은 서울로 설정.
생성시 키파일 저장. ( 키파일.pem )
생성 후 인스턴스 클릭 -> 보안 그룹 -> launch-wizard…~ -> 인바운드 -> 편집 -> 규칙추가
유형 : HTTP, 소스 : 위치 무관 (웹에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규칙)
유형 : 사용자 지정 TCP , 포트범위 : 8080, 소스 : 위치 무관 (사용자가 웹에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규칙)
유형 : SSH, 소스 : 위치 무관 (사용자가 terminal에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규칙)
3. MAC에서 EC2 인스턴스를 접속합니다.
인스턴스 생성시에 내려받은 key파일이 있는 경로로 갑니다. 그리고 키파일에 대한 권한을 400으로 설정합니다.
$ chmod 400 생성한키파일명.pem
EC2 인스턴스에 접속합니다.
$ ssh -i 생성한키파일명.pem ec2-user@ec2~.ap-northeast-2.compute.amazonaws.com
4. ec2에 java와 git을 설치
ec2의 초기버전인 java7을 삭제하고 java8을 설치한 후, git 설치
$ sudo yum install -y java-1.8.0-openjdk-devel.x86_64
$ sudo /usr/sbin/alternatives --config java
$ sudo yum remove java-1.7.0-openjdk
$ java -version
$ sudo yum install git
$ git --version
5. git clone을 하여 프로젝트를 받아옵니다.
$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Choonick/~.git
6. 프로젝트를 build하여 배포 패키지인 .jar을 만듭니다. (Maven 설치 필요)
배포 패키지는 함수의 컴파일된 어셈블리와 그것의 모든 어셈블리 종속성을 함께 수록한 zip 파일을 말합니다.
-rw-r--r-- 1 jhoon staff 9062 May 10 16:37 demo.iml
-rwxr-xr-x@ 1 jhoon staff 6468 May 7 07:30 mvnw
-rw-r--r--@ 1 jhoon staff 4994 May 7 07:30 mvnw.cmd
-rw-r--r-- 1 jhoon staff 3727 May 10 16:37 pom.xml
drwxr-xr-x 4 jhoon staff 128 May 11 01:07 src
$ mvn clean package
mvn clean package 명령어를 입력하여 build하고, 생성된 target폴더로 들어갑니다.
$ cd target
.jar 파일을 java로 구동시켜야 하는데, ssh를 종료해도 서버가 계속 실행되어야 하므로 nohup을 사용합니다. '&' 은 백그라운드에서 구동한다는 뜻입니다.